BlockChain21 블록체인은 serverless 인가? 서버란?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나 프로그램에 서비스나 리소스를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또는 장치입니다.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처에서, 서버는 특정한 서비스를 핸들하기 위해 설계된 머신으로, 파일 공유, 웹 호스팅, 카카오톡 등의 예시가 있습니다. 서버는 무거운 작업량을 처리하고, 신뢰성과 지속성이 있는 퍼포먼스를 위해 보통 클라이언트 장치보단 고성능의 하드웨어로 설계됩니다. 그래서 서버는 보통 24시간 작동하며, 중단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서버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물리적 시스템인 물리적 서버와 소프트웨어 기반이며 물리적 서버에서 가상 시스템으로 실행되는 가상 서버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서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버는 확장성, 유연성 및 비용 효율성으.. 2023. 3. 11. EVM은 무엇이고, 한계는 무엇일까? 1. EVM 이란?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은 Go언어로 만들어진 것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실행되는 가상 머신입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EVM은 이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EVM은 바이트 코드(Bytecode)를 실행하는데, Solidity와 같은 고급 언어로 스마트 컨트랙트가 작성되면, 컴파일러를 통해 이를 EVM이 이해할 수 있는 바이트 코드로 변환됩니다. EVM은 이 바이트 코드를 실행하고, 스마트 계약에서 정의된 작업을 수행합니다. EVM은 이더리움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에서 실행됩니다. 이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신뢰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고, 블록체인의 상태를 변경할 수 .. 2023. 3. 11. zk-rollup과 zkEVM의 관계 1. zk-rollup zk-rollup이란 블록체인 레이어2 스케일링 솔루션으로 처리량을 개선하고, 트랜잭션 실행비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의 이더리움은 낮은 트랜잭션 처리량과 높은 비용이라는 확장성 문제를 갖고 있었고, 이는 VISA와 같은 곳과 비교하면 현저히 떨어지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고자 zk-rollup이 나왔다고 간단히 이해하면 좋습니다. 롤업의 동작은 여러 트랜잭션을 롤업이라고 하는 단일 트랜잭션에 묶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출하는 동작을 합니다. 롤업 트랜잭션에는 세부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증명하는 영지식 증명(ZKP)과 함께 개별 트랜잭션의 압축된 표현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기본 트랜잭션의 보안과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2023. 3. 7. [JSON-RPC] REST vs JSON-RPC TCP 위에서 동작한다 REST는 HTTP(S)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는 표준인 반면에 JSON-RPC는 TCP 위에서 동작하는 표준이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프로토콜에서 사용할 수 있다. web3에서도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웹소켓을 통해서 통신을 하는데 여기서 JSON-RPC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JSON-RPC가 HTTP 프로토콜뿐만아니라 TCP 위에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REST는 다른 리소스를 얻기 위해서 다른 URL에 접근해야하는 반면에 JSON-RPC는 하나의 엔드포인트 URL에서 모든 요청과 응답을 받는다. 그리고 REST는 요청을 보낼 때 여러 HTTP Method를 통해서 보내는 반면에 JSON-RPC는 (HTTP의 경우) 하나의 Method를.. 2022. 9. 8.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