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lockChain/blockchain

블록체인은 serverless 인가?

by gamxong 2023. 3. 11.

서버란?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나 프로그램에 서비스나 리소스를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또는 장치입니다.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처에서, 서버는 특정한 서비스를 핸들하기 위해 설계된 머신으로, 파일 공유, 웹 호스팅, 카카오톡 등의 예시가 있습니다.

 

서버는 무거운 작업량을 처리하고, 신뢰성과 지속성이 있는 퍼포먼스를 위해 보통 클라이언트 장치보단 고성능의 하드웨어로 설계됩니다. 그래서 서버는 보통 24시간 작동하며, 중단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서버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물리적 시스템인 물리적 서버와 소프트웨어 기반이며 물리적 서버에서 가상 시스템으로 실행되는 가상 서버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서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버는 확장성, 유연성 및 비용 효율성으로 인해 점점 더 대중화되고 있는 또 다른 유형의 서버입니다.

 

 

블록체인의 등장 배경

블록체인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중앙서버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여 나타났습니다.

 

중앙서버는 데이터나 자산 등의 중앙 집중적인 보관과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중앙 서버를 사용하면 중앙 집중적인 접근 및 관리로 인한 보안 이슈나 위험성, 그리고 장애 발생 시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블록체인입니다. 블록체인은 중앙집중화된 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분산된 네트워크에 여러 노드가 존재하면서 모두가 같은 데이터를 갖고 있고, 데이터의 변경은 일종의 합의 과정을 거쳐 전체 노드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방식을 채택합니다.

 

방식으로 인해 블록체인은 중앙서버의 단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성을 보장하며, 투명한 거래 과정과 분산화된 거래 시스템을 구현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블록체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암호화폐를 비롯한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술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모든 유저들이 하나의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럼 블록체인 서버리스라고 할 수 있는건가?

앞선 설명에 따르면 블록체인은 중앙서버가 없이 탈중앙화 되어있으며, 분산 시스템을 갖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는 중앙서버가 없다는 의미는 맞지만 서버가 없다는 의미는 절대 아닙니다.

 

 

블록체인은 peer-to-peer 네트워크로 작동하여 네트워크 내에 있는 각각의 노드가 클라이언트이자 서버의 역할을 합니다. 또한, 모든 노드가 다른 노드와 소통하면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합니다.

 

따라서 각각의 노드가 본질적으로는 서버이기 때문에 블록체인이 "serverless"라고 말하는 것은 정확한 표현이 아닙니다. 

중앙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노드가 각각의 트랜잭션을 확인 및 검증하여 데이터베이스(블록체인 원장)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함께 유지한다고 이해하는 것이 정확할 것입니다.

'BlockChain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0) 2023.04.09
[JSON-RPC]  (0) 2022.09.08
[blockchain] 해시함수  (0) 2022.08.02
(1) 블록체인에 대해서  (0) 2022.06.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