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blockchain5 블록체인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블록체인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블록체인 이전의 기술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결코 보편적인 데이터베이스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분산해서 저장하자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것이 바로 블록체인이기 때문입니다. 거기에 타원곡선 암호학, 데이터 불변성 등의 개념이 덧대지면 비로소 블록체인이 됩니다. 이처럼 블록체인은 사실 기존 기술들을 기반으로 한 기술이기 때문에 기존의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와 차별화된 기술이 절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도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처럼 쿼리를 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트랜잭션의 개념도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처럼 atomic단위로 commit과 Rollback으로 나눠지는 등 동일한 부분이 굉장히 많습니다. 저는 처음에 cs공부를 블록.. 2023. 4. 9. 블록체인은 serverless 인가? 서버란?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나 프로그램에 서비스나 리소스를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또는 장치입니다.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처에서, 서버는 특정한 서비스를 핸들하기 위해 설계된 머신으로, 파일 공유, 웹 호스팅, 카카오톡 등의 예시가 있습니다. 서버는 무거운 작업량을 처리하고, 신뢰성과 지속성이 있는 퍼포먼스를 위해 보통 클라이언트 장치보단 고성능의 하드웨어로 설계됩니다. 그래서 서버는 보통 24시간 작동하며, 중단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서버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물리적 시스템인 물리적 서버와 소프트웨어 기반이며 물리적 서버에서 가상 시스템으로 실행되는 가상 서버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서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버는 확장성, 유연성 및 비용 효율성으.. 2023. 3. 11. [JSON-RPC] REST vs JSON-RPC TCP 위에서 동작한다 REST는 HTTP(S)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는 표준인 반면에 JSON-RPC는 TCP 위에서 동작하는 표준이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프로토콜에서 사용할 수 있다. web3에서도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웹소켓을 통해서 통신을 하는데 여기서 JSON-RPC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JSON-RPC가 HTTP 프로토콜뿐만아니라 TCP 위에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REST는 다른 리소스를 얻기 위해서 다른 URL에 접근해야하는 반면에 JSON-RPC는 하나의 엔드포인트 URL에서 모든 요청과 응답을 받는다. 그리고 REST는 요청을 보낼 때 여러 HTTP Method를 통해서 보내는 반면에 JSON-RPC는 (HTTP의 경우) 하나의 Method를.. 2022. 9. 8. [blockchain] 해시함수 해싱이란? 해싱은 가변 크기의 입력값에서 고정된 크기의 출력값을 생성해 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시 함수(해싱 알고리즘으로 구현됨)라 알려진 수학적 공식을 따라 진행됩니다. 기존의 해시 함수와 암호 해시 함수는 모두 결정론적입니다. 결정론적이라는 것은 입력값이 변하지 않는 한, 해싱 알고리즘은 언제나 동일한 출력값(해시)을 산출해 낸다는 것. 일반적으로 암호화폐의 해싱 알고리즘은 일방향 함수로 설계되어 상당한 양의 연산 시간과 리소스 없이는 쉽게 이를 되돌릴 수 없습니다. 즉, 입력값에서 출력값을 생성하는 것은 매우 쉽지만, 반대 방향으로 가는 것(출력값만을 가지고 입력값을 생성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렵. 일반적으로 입력값을 찾기 어려울수록 해싱 알고리즘은 더욱 안전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해시 .. 2022. 8. 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