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21 [Solidity] CA, EOA 계약 계정(Contract Account)(CA) 이더리움 블록체인 안에 있는 계정 private key 없음 코드가 이 계정을 관리함. 직접 트랜잭션을 개시하는 것은 불가. Externally Owned Account (EOA) private key가 있는 계정 자금 송금, 트랜잭션 게시 역할 블록체인에 접근할 수 있는 있지만 배포는 불가. 블록체인은 어느 주소에 얼마가 들어있는지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2022. 8. 4. [blockchain] 해시함수 해싱이란? 해싱은 가변 크기의 입력값에서 고정된 크기의 출력값을 생성해 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시 함수(해싱 알고리즘으로 구현됨)라 알려진 수학적 공식을 따라 진행됩니다. 기존의 해시 함수와 암호 해시 함수는 모두 결정론적입니다. 결정론적이라는 것은 입력값이 변하지 않는 한, 해싱 알고리즘은 언제나 동일한 출력값(해시)을 산출해 낸다는 것. 일반적으로 암호화폐의 해싱 알고리즘은 일방향 함수로 설계되어 상당한 양의 연산 시간과 리소스 없이는 쉽게 이를 되돌릴 수 없습니다. 즉, 입력값에서 출력값을 생성하는 것은 매우 쉽지만, 반대 방향으로 가는 것(출력값만을 가지고 입력값을 생성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렵. 일반적으로 입력값을 찾기 어려울수록 해싱 알고리즘은 더욱 안전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해시 .. 2022. 8. 2. [Solidity] 임의의 이름으로 토큰 만들기 일단 solidity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기능을 하는 컨트랙트를 만들었고, react(리액트)와 연동하여 구현했다. 이제 이 코드에 변형을 하여 내 이름으로 토큰을 만들어 볼려고 한다. constructor 일단 contructor(생성자)를 사용해야 하는 것 같다. constructor (string memory name_, string memory symbol_) public { _name = name_; _symbol = symbol_; _decimals = 18; } 생성자는 처음 컨트랙트가 만들어질 때 호출된다. 함수의 매개변수는 [_] 이다. constructor 사용시 주의해야 할점 계약에는 생성자가 하나만 있을 수 있다. 생성자 코드는 계약이 생성될 때 한 번 실행되며 계약 상태를 초기화하.. 2022. 7. 27. [Solidity] event란? 쓰는 이유는? event 란 무엇일까? 봐도봐도 헷갈려서 나 혼자만에 정리를 해볼려고 한다. event - 이벤트란 솔리디티 튜토리얼 문서에 따르면 이벤트는 계약의 상속 가능한 구성원입니다. 이벤트가 발생하고 트랜잭션 로그에 전달된 인수를 저장합니다. 이러한 로그는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블록체인에 계약이 존재할 때까지 계약 주소를 사용하여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이벤트는 계약 내에서 액세스할 수 없으며 이를 생성하고 내보낸 이벤트도 마찬가지입니다. 라고 하는데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고, 추상적인 부분도 있다. 이벤트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벤트는 블록체인에서 어떤 일이 발생했음을 외부 사용자에게 알리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smart contract 자체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없습니다. 왜냐? 외부 사용.. 2022. 7. 27.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