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7 [Database] 실수하기 어려운 환경 만들기 서버 개발하면서 DB 관리와 관련된 중요한 부분을 간과하고 있었던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로컬 환경에서 프로덕션 DB로의 연결이 쉽게 가능했고, ddl-auto 옵션을 사용하여 언제든지 DB가 초기화될 위험을 안고 개발해 왔던 점입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SWZcrdmmLEU&t=32s 위 영상과 같이 ddl-auto: create로 인한 이슈는 흔치 않지만, 누구나 한 번쯤은 겪을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했어요. 저희 팀도 이 점을 알고 있었으나, 바쁜 기능 개발에 치여 이 문제를 나중에 개선하자는 식으로 미루어 왔습니다.문제 상황 발생결국 운영 DB에서 이슈가 발생하고 말았습니다. 테스트 편의성 때문에 프로덕션 DB에 직접 테스트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었고, loca.. 2024. 9. 16. BE로서 GraphQL 맛보기 0. 목표 graphQL이 무엇인지 누구한테 간단히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알아보자. graphQL를 통해서 실제 개발은 어떤식으로 하는지 감각을 가져보자. 1. GraphQL 그게 뭔데 1-1. 일단 REST API ? REST API에 대해서는 깊게 들어가면 끝이 없지만 다들 어느정도 알고 계시기도 하고, 이게 중요한게 아니니까 REST API 자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넘어가겠습니다! 1-2. REST API 한계 OverFetching 문제 특정 API 의 응답값이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 { "name": "송민규", "nickname" : "송민규짱짱맨", "generation" : 33, "part" : "server", "drinkingCapacity" : 2.5 "mbti": ".. 2024. 4. 22. [Spring] 빈, 컨테이너 그게 뭔데? 1. 컨테이너 & 빈 일반적인 자바의 경우에는 필요한 객체를 필요할 때마다 직접 생성하고, 필요한 메서드를 호출한다. 자바의 경우 new 키워드를 통해 인스턴스를 생성할 것이다. 하지만 스프링에서는 클래스들의 인스턴스(객체)를 일일이 프로그래머가 다루는 것이 아닌, 스프링에게 관리를 맡긴다. 이것이 스프링의 가장 큰 특징 인 IoC(Inversion of Control)이다. loC는 '제어의 역전'이라는 의미이며, 쉽게 '제어의 흐름을 바꾸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한 객체는 스프링이 생성해 놓은 객체를 가져와서 쓰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이 객체들을 미리 생성해 관리하는 공간을 스프링 컨테이너, 이렇게 스프링에 의해 생성되고 관리되는 자바 객체를 빈(Bean)이라고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 : 스프.. 2023. 7. 1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