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lockChain/blockchain

블록체인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by gamxong 2023. 4. 9.

 

블록체인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블록체인 이전의 기술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결코 보편적인 데이터베이스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분산해서 저장하자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것이 바로 블록체인이기 때문입니다. 거기에 타원곡선 암호학, 데이터 불변성 등의 개념이 덧대지면 비로소 블록체인이 됩니다. 이처럼 블록체인은 사실 기존 기술들을 기반으로 한 기술이기 때문에 기존의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와 차별화된 기술이 절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도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처럼 쿼리를 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트랜잭션의 개념도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처럼 atomic단위로 commit과 Rollback으로 나눠지는 등 동일한 부분이 굉장히 많습니다. 저는 처음에 cs공부를 블록체인으로 했기 때문에 기존에 없는 새로운 방식인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외에 데이터베이스와 서버에 대해 공부하면서 앞서 언급한 트랜잭션 같이 유사한 부분이 굉장히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컴퓨터에 대해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버나 백엔드의 기초를 다지는 것이 필수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좋은기회로, 클레이튼 현업자 분과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그 대화에서 현업자 분이 말씀하신 '블록체인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블록체인 이전의 기술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말씀에 깊은 동감을 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블록체인 솔루션도 이전에 사용했던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는 샤딩 기술이 블록체인에서도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에서는 샤드간 데이터 처리에 막대한 오버헤드가 발생하여 ‘Danksharding’ 방식이 도입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에 쓰이는 기술들이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에 비슷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블록체인에 입문하고 싶으신 분이 계시면, 진정으로 블록체인 개발자를 원한다면 이전 기술에 대한 선행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BlockChain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은 serverless 인가?  (0) 2023.03.11
[JSON-RPC]  (0) 2022.09.08
[blockchain] 해시함수  (0) 2022.08.02
(1) 블록체인에 대해서  (0) 2022.06.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