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0

Rest, Rest API, Restful REST 의 정의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 즉, 자원의 표현에 의한 상태 전달 자원의 표현 자원 :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 자원의 표현 : 그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 Ex) DB의 학생 정보가 자원일 때, 'students'를 자원의 표현으로 정함 상태(정보) 전달 데이터가 요청되어지는 시점에 자원의 상태(정보)를 전달 JSON 혹은 XML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쳐 스타일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 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 REST 의 개념 HTTP URI 를 통해 자원(Resourc.. 2023. 4. 6.
HTTP 기본적인 내용 0.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규약) 중 하나입니다.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 통신에서 사용됩니다. 웹 브라우저는 HTTP를 통해 서버로 요청(request)을 보내고, 서버는 이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을 반환합니다. 1. HTTP 의 2가지 특징 Request / Response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은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ex) 1. 브라우저가 HTML 파일을 요청합니다. 서버는 HTML 파일을 반환합니다. 2. 브라우저가 스타일 시트를 요청합니다... 2023. 4. 6.
[미완] 컴공 학부생으로서 공학수학/선형대수학 1. 글을 쓰게 된 계기 소프트웨어학부로 전과하고, 처음 들었던 과목이 공학수학이었다. 아무래도 문과 출신이라 이과 학생들과 함께 듣는 공학수학은 굉장히 두려웠었다. 그래도 수학을 좋아했기 때문에 부딪혀 봤고, 결과적으로 괜찮은 성적을 받았다. 하지만 그 때 당시 교수님께서는 이걸 왜 배우는지에 대한 맥락 설명없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셨다. 그래서 문제 푸는 것은 잘했지만, 근본적으로 이것을 왜 배우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지 못했다. 그저 문제 푸는 기계가 되어버린 것 같았다. 그 후, 쉴 새 없이 살았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이 의문을 해결하지 못한 불편한 상태로 있었다. 그러나 운 좋게, 알고리즘 수업을 들으면서 공학수학 내용이 등장했다 그래서 이 기회를 통해 컴공 학부생으로서 .. 2023. 4. 2.
선형대수학에서 선형이란? 1. 선형(Linear)이란? 컴퓨터 과학에 대해 배울 때 우리는 ‘선형’이라는 말을 자주 접합니다. 알고리즘에서 선형 복잡도를 말할 때도 '선형'이라는 말이 쓰이고, 자료구조 등에서도 '선형'이라는 말은 굉장히 많이 쓰입니다. 하지만 저는 '선형'의 의미가 모호할 때가 많았습니다. 선형대수학에서의 '선형'은 제가 알고 있는 선형과 다른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선형’의 정확한 의미에 대해 확실히 알고자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2. 선형의 두 가지 정의 미적분학에서 선형 함수 (다항식 함수 관점) y=ax+b 형태의 직선의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함수. 상수 함수또는 1차 함수인 함수입니다. 다항식 함수관점에서 선형 함수는 ‘직선’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선형대수학에서 선.. 2023.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