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26 WHERE 조건 절을 활용한 데이터 검색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하는 것이 WHERE 절 ‘어디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가져올지 정함 SELECT 열 이름 FROM 테이블 이름 WHERE 원하는 조건; 논리순서 1. 참조하려는 테이블로부터(FROM) 2. 해당 조건식으로(WHERE) 3. 열을 선택(SELECT)하여 조회 연산자 종류 비교 연산자 : 조건을 비교 ( =, 등) SQL 연산자 : 조건 비교를 확장 ( BETWEEN, IN 등) 논리 연산자 : 조건 논리를 연결 ( AND, OR 등) 1. 비교연산자 : 비교 조회 조건 주기 비교연산자 종류 = : 같다 (!=) : 같지 않다. 이 외는 동일 예시 1 : employee_id가 100인 직원 정보 출력 SELECT * FROM employees WHERE employe.. 2023. 3. 14. SELECT 문의 기본 문법 SELECT 문은 항상 SELECT 절과 FROM 절을 같이 기술 다른 조건이 추가로 필요하다면 WHERE 절에 기술 데이터가 출력되는 순서를 정하려면 ORDER BY 절을 기술 **SELECT** [DISTINCT] **열 이름** [or 별칭(alias)] **FROM 테이블 이름** [WHERE 조건식] [ORDER BY 열이름 [ASC or DESC]]; 굵은 글씨는 필수사항 대괄호는 선택 사항으로 생략 가능 문장이 끝났다는 의미로 세미콜론(;)을 입력 1. SQL문 작성 규칙 대소문자 구별 X 한 줄 또는 여러 줄로 작성 가능 보통 명령어를 대문자로, 나머지는 소문자로 2. 전체 데이터 조회하기 SELECT 명령어 : ‘선택(조회)한다’는 의미, 선택된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한다는 것 SELECT.. 2023. 3. 14. SQL 용어 정리 데이터베이스란? : 데이터를 모아 둔 것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열과 행을 갖는 2차원 테이블을 중심으로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 키와 관계라는 연결 고리로 연결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하고 가공하는 방식의 데이터베이스 2.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 폴더-파일 구조 : 기업용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거의 안씀 3.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 객체 지향 데이터 모델을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4. XML 데이터베이스 : XML 표준 문서 구조를 계층형 트리 형태로 저장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만든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 처리를 위해 XQuery 언어 사용 SQL이란? (Structured Query Language)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기 위해 만들어진 표준 언어 : DBMS와 통신하기 위한 언어 사용하기.. 2023. 3. 14.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과 탭레이션(Tabulation)의 차이 0. Intro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과 탭레이션(Tabulation)은 둘 다 동적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며, 입력 크기가 작은 하위 문제의 해답을 이용해 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두 방법의 차이점은 계산 방식과 구현 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메모이제이션 Memoization은 top-down 방식으로, 큰 문제를 해결할 때 작은 하위 문제의 해답을 이용합니다. 이 때, 작은 하위 문제의 해답을 기록해 두고, 이를 이용하여 중복 계산을 피합니다. 따라서, 재귀 호출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탭레이션 Tabulation은 bottom-up 방식으로, 작은 하위 문제의 해답을 먼저 계산하고, 그것을 이용.. 2023. 3. 13.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