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WS IPv4 정책 변경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new-aws-public-ipv4-address-charge-public-ip-insights/
공지 – AWS Public IPv4 주소 요금 변경 및 Public IP Insights 기능 출시 | Amazon Web Services
AWS에서 퍼블릭(Public) IPv4 주소에 대한 새로운 요금이 도입됩니다. 2024년 2월 1일부터 서비스 연결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퍼블릭 IPv4 주소에 대해 시간당 IP당 0.005 USD의 요금이 부과됩니다. 계정에
aws.amazon.com
2024년 2월부터 public IPv4 정책이 바뀜에 따라 기존에 프리티어로 이용하셨던 분들도 과금되는 문제가 있었는데요!
정책이 바뀌었으니까 이제 프리티어도 무료로 할 수 없겠구나..!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을 것 같은데요! (물론 무지했던 제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물론 각자 자신의 프로젝트에 어떤 AWS 리소스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다를 수는 있습니다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AWS 리소스에 대해서는 프리티어에 한해서 "어렵지 않게"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프리티어가 아닌 경우에도 비용 절감이 가능하지만 아예 무료로 이용하기 위해선 조금 더 복잡한 설정이 필요한데요.. 해당 글은 아래를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Identify and optimize public IPv4 address usage on AWS | Amazon Web Services
AWS 비용 줄이기 위해 참고하면 좋은 문서
2. AWS 리소스 요금 확인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AWS 리소스는 EC2, RDS 정도가 있을 것 같은데요!
실제 제 프로젝트의 요금 청구서를 보겠습니다.
요금 청구서를 보면, 오직 아래 항목에만 요금이 청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05 per In-use public IPv4 address per hour
그리고 EC2 자원에 대해서는 아무 요금이 청구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게 사실 당연한 것이 프리티어의 경우에 대한 IPv4 사용의 정책이 아래와 같이 되어있습니다.
즉, 프리티어에서의 EC2의 경우에는 IPv4 사용이 무료라는 것입니다.
3. RDS 요금
$0.005 per In-use public IPv4 address per hour
그렇다면, 앞서 첨부한 청구서에서 해당 항목은 어떤 것을 의미할까요?
바로 RDS 사용에 관한 것입니다!
보통 RDS를 생성할 때, 퍼블릭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선, RDS -> 연결 및 보안에서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퍼블릭 액세스를 가능케 하면, IPv4 주소가 자동으로 할당되게 되는데요!
기존에는 RDS에서의 IPv4 사용이 무료였습니다!
하지만 정책 변경으로 인해 RDS에서의 IPv4 사용이 더이상 무료가 아니기 때문에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4. 해결 방법
해결 방법은 아주 심플합니다! 퍼블릭 액세스를 못하게 설정하면 되는데요!
그리고, 오직 EC2에서만 정상적으로 접근하면 되기 때문에 EC2와의 연결만 허용해주면 됩니다!
1. 퍼블릭 액세스를 차단한다.
2. EC2와 연결을 시킨다.
(진행하기 전에, 만약 RDS와 EC2의 가용영역이 다르면 요금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만약 다를 경우, 현재 DB의 스냅샷을 찍어서 새로운 DB를 만들어 가용영역을 동일하게 만들어서 진행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저희 프로젝트도 가용영역이 달라서, 스냅샷을 찍어서 새로운 DB를 만들었습니다!
새로운 DB를 만들 때는 만약 프리티어의 경우, micro 계열의 DB를 만들어야 요금 청부가 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저희는 t3.micro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4-1. 퍼블릭 액세스 차단
4-2. EC2와 연결
사실 보안그룹을 설정해줘도 되지만, 조금 더 간편하게 설명 드리기 위해 해당 방법으로 진행하겠습니다!
RDS 세부 설정에 해당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 후, 원하는 EC2를 선택 -> 계속 -> 설정 단계를 거치면 간편하게 연결이 가능합니다!
5. 결과
요금
가장 중요한 요금인데요!
이렇게 RDS 관련 IPv4 요금이 특정 시점으로부터 멈춰있으면 성공입니다!
(바로 반영이 되는건 아니기에, 2-3시간 후에 확인하면 좋을 것 같아요!)
보안
사실 해당 방식으로 하면, 보안측면에서도 굉장히 좋은데요!
상식적으로 봐도 가장 중요한 DB가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아닌 EC2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기에 보안적으로도 더 나은 개선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저희 프로젝트는 더이상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이전과 그대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6. 그 이후, 발생가능한 문제들
이렇게 되면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것 외에는 아무 변화가 없는 것이냐?
크게 변화되는 것은 없지만, 개발하는데 있어 조금 불편할 수 있습니다. 불편한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DataGrip과 같은 유틸 사용
2. spring과 같은 서버 개발 로컬 환경에서 테스트를 위해 rds에 접근하는 경우
다음 포스팅에서는 해당 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2024.04.16 - [BE/AWS] - RDS 프라이빗 설정 후, DataGrip과 로컬 spring ssh 연결
RDS 프라이빗 설정 후, DataGrip과 로컬 spring ssh 연결
1. 이전 맥락 2024.04.16 - [BE/AWS] - AWS 정책변경 후, 0원에 이용하기 AWS 정책변경 후, 0원에 이용하기 1. AWS IPv4 정책 변경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new-aws-public-ipv4-address-charge-public-ip-insights/ 공지 –
gamxong.tistory.com
'BE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DS 프라이빗 설정 후, DataGrip과 로컬 spring ssh 연결 (0) | 2024.04.16 |
---|
댓글